본문 바로가기
  • Round and Round
DB/SQLP

[SQLP] 비전공자 개발자, 야근 하면서 6개월 만에 SQLP 합격 후기 및 공부 방법 (제 51회 시험) 📚

by 퉁글퉁글 2024. 10. 6.

힘들어도 포기하지 않는 것 ✨

 

현재 회사를 다니면서 Copy & Paste 코드 짜기 반복과 사람 갈아버리는 업무 환경으로 인해 육체적으로 지치고 심적으로 우울해지는 일이 많았습니다. 그러다가 이렇게 부정적으로 살면서 나에게 안 좋은 영향을 주기보다는 반대로 생각하기로 했습니다. 여기라서 할 수 있는 일을 찾기로!! 그게 바로 SQL튜닝이었고, 이에 대해 깊게 파고들고자 SQLP 자격증 준비를 시작하였고 첫 번째 도전만에 합격이라는 결과물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 SQLP 시험 준비

 

SQLP 은 1 ~ 3과목 필기 + 실기 시험으로 이루어져 있고 합격하기 위해서는 과목별 40% 이상의 점수(과락)와 총 75 점 이상 취득해야 합니다. 필기 과목에서는, 3과목 SQL 고급활용 및 튜닝에 대한 공부 범위가 정말 방대하고 난도가 높습니다. 실기 과목은 난이도는 개념을 이해하지 않으면 손을 대는 거 자체가 힘들었기 때문에 과락을 피하는 게 목표일 정도였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공부 시작 시에는 3과목을 우선적으로 공부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3과목 우선 시작

 3과목과 실기는 공부 범위가 정말 방대하고, 문제집만 푼다고 해서 절대 합격할 수 없기 때문에 개념을 먼저 깔아 놓아야합니다.  추천하는 책으로는 아래 책들이 있습니다. 시험 준비뿐만 아니라 개인적으로 가지기에는 좋은 책들이어서 저는 구매까지 했습니다. (책은 좋은데 가격은 사악 그 자체..)

 

공부기간 동안 읽은 개념서

 

  • 친절한 SQL 튜닝 : 최소 3 회독
  • 오라클 성능 고도화 원리와 해법 : 최소 3 회독 

 저와 같이 비전공자라서 기본적인 정보가 없어서 걱정되시는 분들은 친절한 SQL 튜닝 책을 꼭 3회 이상 정독하시길 바랍니다. 개념을 잘 설명하고, 원리를 쉽게 이해할 수 가 있어서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그러나 이 책만으로는 시험 범위를 만족할 수 없기 때문에 오라클 성능 고도화 원리와 해법 책도 정독 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실제 시험에서도 오라클 고도화에서만 언급되었던 내용이 나와서 당황했습니다. (제대로 공부 안 했던 부분이라서 결국 틀렸습니다. ㅠㅜㅜㅠ) 

 

공부기간 동안 푼 문제집


 개념을 모두 공부 했다 하시면 SQLP 자격검정 핵심노트 을 풀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때, 개념을 완벽하게 공부하고 문제집으로 넘어가기보다는 1~2 회독을 하고 나서 대충 어떤 원리인지와 흐름을 이해하시면 문제집으로 넣어가는 것이 좋습니다. 실제 시험에서 문제가 어떻게 나오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저는 3과목을 개념서 1~2회독 → 문제집 1~2 회독 개념서 1~2회독   문제집 1~2회독 이런 식으로 교차 공부하면서 개념 + 문제풀이를 병행하였습니다. 그리고 이해되지 않는 개념이나 문제는 데이터 전문가 포럼  네이버 카페 혹은 ChatGPT을 사용해서 보충했습니다. 물론 잘못된 정보인지는 교차 검증하였습니다.


📑 실기 준비

 실기는 3과목 개념을 알아야 공부할 수 있기 때문에 개념서와 문제집을 모두 최소 1 회독하고 나서 진행하였습니다. SQLP 자격검정 핵심노트SQL 자격검정 실전문제 책에서 나왔던 문제들을 1회 풀이 후 오답 및 개념 정리 하고 다시 한번 더 풀이 하였습니다. 시간이 부족해서 문제집에 나왔던 문제 만을 가지고 풀었지만, 구글 검색 혹은 데이터 전문가 포럼 카페에서 올라오는 문제들도 모두 풀어보는 게 좋습니다.

 

 

 처음에 풀면 정말 제대로 맞히는 문제가 없기 때문에 정말 당황스러울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최대한 많고 다양한 문제를 가지고 풀어야 하기 때문에 1개의 문제에 너무 집중해서 많은 시간을 풀이에 많은 시간을 소비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3과목에 나오는 튜닝 범위가 곧 실기 범위이기 때문에 넓은 범위를 공부하기 위해서 정리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저는 문제 풀이 후에 오답 및 개념을 위 사진처럼 매우 자세히 정리하였습니다. 문제을 완전히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중에 다시 공부할 때도 이해하기가 쉬웠기 때문입니다. 


📑 1 ~2과목 준비

 1~2 과목 공부를 시작할 때는 개인에 따라 다르는데 저는 2과목에 대해 자신이 있었기 때문에 1 달 전에 시작하였습니다. 개념은 SQL 전문가 가이드을 완독 하면 충분하지만 저는 이미 대충 알고 있었기 때문에 시간을 최대한 아끼기 위해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SQLD 개념 요약본을 외웠습니다. 외울 때도 이동 중이나 자투리 시간을 투자해서 틈틈이 외웠습니다.  2과목에 실습이 필요한 부분인 PIVOT, 계층형 쿼리, 정규 표현식 같은 경우에는 점심시간이나 출근 전 시간을 이용해서 짬짬이 연습했습니다.

 

 

 

 

 개념을 대충 외웠다고 생각할 시점에 SQL 자격검정 실전문제을 풀이하였습니다. 오답풀이는 요약본에 표시해서 집중해서 외우는걸로 대체했습니다. 순수하게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은 3과목과 실기에 투자하기 위해서 1~2과목 공부 시간을 최대한 아꼈습니다. 시간에 여유가 있으신 분들은 2과목은 제대로 투자하셔도 좋을 거 같습니다. 과목 개편 이후로 2과목의 새로 나온 범위가 이번에 좀 까다로웠기 때문입니다. 특히 정규 표현식의 경우 너무 생소해서 시험 시작 전에 한 번 더 보지 않았자면 3문제 연속으로 틀릴 뻔했습니다 😅💦

 

 

🖇️ 6개월 간의 공부

 2월부터 시작해서 8월 말까지 달리면서 순수하게 공부할 수 있었던 시간은 4개월 정도 였습니다. 직장을 다니면서 순수 공부에 투자할 시간을 번다는 것은 너무 어려웠습니다. 갑자기 프로젝트에 긴급 인원으로 투입되거나 기존 프로젝트가 오픈하면서 야근 혹은 주말출근이 하는 일이 빈번해지면서 시험을 포기하고 싶었던 날이 정말 많았습니다. 특히 야근하는 날에 집에 와서 다시 새벽 4시까지 공부하고 다음날에 8시에 일어나서 출근할 때는 정말 사람이 할 짓이 못된다 생각 들더군요 ㅠㅠㅜ.... 그래도 합격하면서 이 모든 날들이 저의 자신감이 되어 돌아오더군요!!! 

 

 

🖇️ 제 51회 SQLP 시험 합격

합격 ✨🫶

 

 이번 시험은 실기 유형도 정말 처음 보는 거에다가 필기는 2과목에서 뒤통수 막고 3과목에서 쓰리 펀치를 맞아서 시험 치고 돌아오자마자 바로 기절했습니다. 객관식조차 개념 4 지선답이 아니라 정말 생각이 필요한 문제였어서 개념이 정말 중요했던 시험이었던 거 같습니다. 


🔮 합격 이후

 시험이 끝났다고 해서 공부가 끝난것도 아니기 때문에 공부했던 기록을 블로그에 정리할 생각입니다. 추가적으로 다른 공부도 하면서 더 열심히 달릴 생각입니다. 

'DB > SQLP'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P] 1-5. I/O 메커니즘  (0) 2025.02.11
[SQLP] 1-4. 라이브러리 캐시 최적화  (0) 2025.02.09
[SQLP] 1-3. SQL 공유 및 재사용  (0) 2025.02.09
[SQLP] 1-2. SQL 파싱과 최적화  (0) 2025.02.09
[SQLP] 1-1. Oracle 아키텍처  (0) 2025.02.09